본문 바로가기
일상

7세 아이에게 꼭 해줘야 할 60가지 중 - 4탄 - 10가지

by ritwo 2021. 10. 25.
728x90
반응형

31. 게임 중독, 부모가 먼저 컴퓨터 선수가 되세요.

알람을 켜놓고 게임을 해요
아이가 아직 시간에 대한 개념이 없기 때문에 30분 뒤에 알람이 울리게 해 놓고 게임을 하게 한다. 게임을 하고 난 후에는 함께 놀아주는 등 게임을 하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도록 애쓰고 있다.
될 수 있으면 밖에서 놀게해요
밖에서 신나게 놀다 들어와 씻고 밥을 먹으면 아이도 피곤해서 게임 생각을 하지 않고 일찍 잠자리에 든다.
컴퓨터를 없애고 실외 유치원으로 옮겼어요.


32. 아이들의 성 질문, 이렇게 답하세요.
아이들의 황당한 질문과 행동, 이렇게 대처한다.
아기는 어떻게 태어나?
"엄마 몸과 아빠 몸에는 아기씨가 있는데 아기씨끼리 만나면 아기가 된대" 정도로 설명한다.
아기씨는 어떻게 만나?
"아빠의 아기씨는 고환에 사는데 음경을 통해서 나와, 엄마의 아기씨는 배꼽 밑에 주먹만 한 자궁에서 사는데 질이라는 길이 있어. 질이랑 음경이 만나는 거야" 정도로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다.
여자는 왜 고추가 없어?
"남자 친구들의 음경과 고환은 시원한 걸 좋아해서 밖으로 나와 바람을 쐬는 거고, 여자 친구들의 자궁과 질은 따뜻한 걸 좋아해서 안에 들어가 있는 거야"라고 설명해준다. 이때 성차별적으로 대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왜 고추를 만지면 안 돼?
일단 너무 놀라지 말고 아이들의 자위는 자연스러운 행동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고추는 소중한 곳이어서 잘 보호해줘야 해. 그런데 네가 자꾸 만지면 병균이 옮아 아플 수도 있으니까 조심해야 돼"라고 일러준다.
저 사람들은 뭐 하는 거야?
성적인 매체를 노출하는 것은 좋지 않다. 너무 일찍 어른들의 세계를 접하게 되면 쓸데없이 조숙해져 아이들의 동화나 이야기에는 흥미를 잃게 된다.
아이가 엄마 아빠 놀이를 하면서 뽀뽀를 한다면?
그런 놀이 자체를 못하게 해서는 안된다. 다만 뽀뽀 정도는 되지만 문을 닫고 노는 것은 주의 관찰이 필요하며 지나치게 간섭하기보다는 무심하게 관찰하는 정도가 좋다.
방귀, 똥, 젖꼭지, 똥구멍 등을 이야기한다.
이런 말을 쓰면 안 된다는 것은 단호하게 알려줄 필요가 있다.

33.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시청시간 정하기

미국 소아협회가 제시하는 올바른 텔레비전 시청 요령
시간을 정한다.
텔레비전, 비디오, 게임 시간을 합쳤을 때 하루에 두 시간을 넘지 않도록 한다.
가정에서 텔레비전의 영향력을 최소화한다.
거실의 가구를 텔레비전 중심으로 배치하지 말고 방에는 텔레비전을 놓지 않는다.
시청 계획을 미리 세운다.
신문이나 인터넷으로 편성표를 보고 미리 보고 싶은 프로그램이 할 때만 시청한다.
텔레비전 시청을 상이나 벌로 이용하지 않는다.
대안을 마련한다.
부모가 먼저 행한다.

34. 아이와 함께 나눔 실천하기
기부할 때는 아이가 돈을 모아 직접 기부하게 해 보세요. 심부름을 할 때마다 용돈을 주고 그것을 돼지 저금통에 넣어 돈을 모은 다음 기부를 하는 것이지요.

35. 스스로 감정 조절을 못해요
아이의 말을 집중해서 듣는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이해해준다
아이의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해준다
좀 더 깊이 있는 질문을 한다.-아이가 대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준다.
부정보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바꿔서 말한다.
문제 해결 방법이 무엇인지 질문한다.

36. 아이 스스로 계획하는 습관을 들이세요.
부모가 해주던 일을 멈춘다.
규칙을 바꾸지 않는다.
부모 스스로 모범을 보인다.
칭찬과 보상을 아끼지 않는다
작은 과제를 준다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준다

37. 아이가 인사를 너무 안 해요
강제로 시키지 않는다
부모부터 인사를 잘한다
집에서 인사 연습을 한다.- 거울 앞에서 아이와 함께 인사 연습을 해본다

38. 물건 사달라고 떼쓰지 않게 하기
아이의 마음을 받아준다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말로는 안된다고 하면서 당황하는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
견디기 힘들다고 들어주지 않는다
외출 전 규칙을 이야기한다
일관성 있게 대응한다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소비 유혹을 피한다- 소비의 유혹이 적은 자연이나 도시 외곽으로 나가는 것은 어떨까
너무 인색하게 굴지 않는다. - 그 물건을 대신할 만한 다른 것을 사주는 식으로 타협하는 것이 좋다.

39.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데 어떻게 하죠?

자주 놀림을 받는 아이
친구들이 자신을 괴롭힐 때는 "싫어"라고 말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 싫은지 좋은지 명확하지 않은 태도는 아이들의 놀림을 부추긴다.

괴롭히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
'친절함의 가치를 알려주는 것이다 아이의 하루 행동 가운데 친절한 행동은 과장되게 칭찬해준다.
"고마워 우리 ㅇㅇ 너무 친절한데"라고 이야기해주며 칭찬해준다.

수줍음이 많은 아이
아이와 친구들을 칭찬하는 놀이를 해보는 것도 좋다. 친구들과 함께 놀이를 하게 하는 것도 좋다.

욱하는 성질이 있는 아이
흥분을 가라앉히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친구와 갈등이 일어나는 자리를 뜨게 하거나 숫자를 세게 한다.

사소한 일에도 상처 받는 아이
비슷한 상황을 부모가 연출하면서 역할극을 해보는 것이 좋다. 너무 예민한 아이들에게는 운동을 가르쳐서 강인한 마음을 갖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연세 소아정신과 손석한 원장
친구들과 잘 놀게 하는 세 가지 방법
1. 친 두들을 집에 초대해 놀게 한다.
2. 친구를 사귀지 못하는 원인을 알아낸다.
3. 아이와 맞는 친구를 먼저 사귀게 한다.

40. 책과 장난감을 스스로 정리하게 해 주세요

요즘 환절에 감기 조심하시고요.
오늘도 애쓰셨어요!
반응형

댓글